여름이면 갑작스런 정전에 냉장고 음식들 다 녹고 캄캄하게 지내본 적 있으시죠?
작년에도 몇 번 있었는데 올해는 없길 바라고 있습니다.
전기설비 검사나 전기공사 또는 대량사용 하기 전에 안전진단을 받고 싶다면 전기안전여기로에 의뢰하세요.
이 글의 전기안전여기로 이용방법, 수수료, 모바일앱 설치방법 정보 등으로 미리 대비하시길 바랍니다.
전기안전진단 항목
1. 전기 설비의 노후화 정도 확인
2. 과부하 및 누전 위험 점검
3. 접지 상태 확인
4. 전기 배선의 안전성 검사
정기적인 진단을 통해 잠재적인 위험 요소를 조기에 발견하고 조치한다면 대형 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검사 진단 신청 방법
1. 홈페이지 접속 및 신청
전기안전여기로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안전진단을 신청합니다.
2. 신청 정보 입력
진단 대상 전기설비의 유지 및 운용 상태, 설치 또는 변경 사항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합니다.
3. 수수료 결제
진단에 필요한 수수료를 계산하고 결제합니다.
사이트에서 미리 수수료를 계산해볼 수 있고 상단의 첨부파일에 수수료 자료가 있습니다
4. 진단 일정 지정
신청 및 결제가 완료되면 정기검사 일정이 지정됩니다.
신청 후에는 보통 3-5일 내에 전문 기술자가 방문하여 진단을 실시합니다.
진단 소요 시간은 시설물의 규모와 복잡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 가정의 경우 약 1-2시간 정도 소요됩니다
5. 결과 확인
진단이 완료된 후, 고객은 홈페이지에서 진단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전기설비의 안전성을 평가하고, 잠재적인 위험 요소를 식별하여 전기재해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은 24시간 365일 언제든지 신청이 가능하며, 온라인으로 모든 절차를 진행할 수 있어요
.
검사 진단 시 주의사항
진단을 받을 때는 다음과 같은 사항에 주의해야 합니다
1. 사전 준비
진단 당일에는 모든 전기 설비에 접근이 가능하도록 준비해야 합니다.
특히 배전반이나 콘센트 주변을 정리해 두면 좋습니다.
2. 정확한 정보 제공
전기 사용 패턴이나 최근 발생한 이상 징후 등을 정확히 알려주면 더 정밀한 진단이 가능합니다.
3. 안전 수칙 준수
진단 중에는 전문가의 지시에 따라 행동하고, 불필요한 전기 기기 조작은 삼가야 합니다.
4. 결과 확인 및 조치
진단 후 결과를 꼼꼼히 확인하고,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신속히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전기안전진단 후 관리 방법
다음은 효과적인 사후 관리 방법입니다
1. 정기적인 자체 점검
월 1회 정도 간단한 육안 검사를 통해 전기 설비의 상태를 확인합니다.
2. 과부하 방지
한 콘센트에 여러 전기 기기를 연결하는 것을 피하고, 특히 고전력 기기는 단독으로 사용합니다.
3. 습기 관리
전기 설비 주변의 습기를 철저히 관리하여 누전이나 합선을 예방합니다.
4. 전문가 상담
의문사항이 있거나 이상 징후가 발견되면 즉시 전문가와 상담합니다.
전기안전진단 필요합니다
'전기안전여기로' 홈페이지를 통해 쉽고 편리하게 진단을 신청할 수 있으며,
적절한 주의사항을 지키고 사후 관리를 철저히 한다면 안전한 전기 사용 환경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우리 모두가 중요성을 인식하고 정기적인 진단을 받는다면,
전기로 인한 사고를 크게 줄일 수 있을 거에요
안전한 전기 사용은 우리 모두의 책임이자 권리입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